생명공학기술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이용해 왔으며 지금의 생명공학기술들이 완전히 새롭게 개발되었던 것은 아니다.
수천 년 전부터 농민들은 품질이 좋은 작물들을 고르고 키워와 농작물의 유전자를 알맞게 변형해왔다. 또한, 빵이나 치즈,
요플레, 맥주와 같이 미생물에 의한 발효와 곡류 증가를 위해 사용해온 선택적 교배법(selective breeding)과 같이 유전학적
원리를 이용한 고전적 생명공학기술이라고 볼 수 있으며 식물과 동물들의 유전형질을 선발하여 유용한 유전자를 갖는 개체를
육성하여 이용해왔다.
년도 |
내용 |
기원전4000∼2000년 |
이집트에서 효모를 사용해 빵과 맥주의 발효 시작 |
수메리아, 중국, 이집트에서 치즈를 생산하고 포도주를 발효시킴 |
1663년 |
Hooke, 세포의 존재를 발견 |
1675년 |
Leeuwenhoek, 박테리아를 발견 |
1761년 |
Koelreuter, 다른 종의 농작물의 성공적인 이종교배를 보고 |
1830년 |
단백질 발견 |
1833년 |
최초로 효소가 발견되고 분리됨 |
1835∼1855년 |
Schleiden와 Schwann, 모든 유기체는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 |
Virchow, 모든 세포는 세포에서 생겼다고 선언 |
1857년 |
Pasteur, 미생물들이 발효를 유발한다고 제안 |
1859년 |
찰스 Darwin, 자연 도태의 진화론을 발표 |
1865년 |
Mendel, 완두를 연구하여 유전법칙에 의해 유전적 특징이 부모로부터 자손에게 물려진다는 점을 발견함
|
1870∼1890년 |
Darwin의 이론을 이용하여 면화를 이종교배하고 우성의 수 백 가지의 품종을 개발함 |
최초로 농부들이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농지에 질소고정 박테리아 미생물을 섞어 넣음 |
1877년 |
Koch, 박테리아를 염색하고 동종확인을 위한 기술 개발 |
1879년 |
Fleming, 후에 염색체라 불려지는 세포핵 안쪽의 봉모양의 염색질을 발견 |
1900년 |
초파리가 유전연구 초기에 사용됨 |
1911년 |
Rous, 최초로 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발견 |
1920년 |
Evans와 Long, 인간성장 호르몬이 발견 |
1928년 |
Alexander Fleming, 항생물질인 페니실린 발견 |
1933년 |
1920년대 Henry Wallace에 의해 개발된 잡종옥수수가 상업화됨 |
1942년 |
전자 현미경이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bacteriophage를 규명하고 확인하기 위해 사용됨 |
1944년 |
Avery와 그 외 다른 사람들에 의해 DNA가 유전정보를 운반한다는 점이 입증됨 |
1947년 |
McClintock, 옥수수에서 소위 움직이는 유전자(jumping genes)이라 불리는 전이요소를
발견 |
1951년 |
냉동정액을 사용한 가축의 인공수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됨 |
1953년 |
Nature는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묘사한 James Watson과 Francis Crick의 원고를
출판함 |
1956년 |
Kornberg, DNA 복제의 이해를 이끄는 효소 DNA 폴리메라아제(polymerase)를 발견 |
1963년 |
노르만인 Borlaug에 의하여 개발된 신품종 밀에 의해 생산량이 70% 상승함 |
1964년 |
필리핀의 국제 쌀 연구소는 새로운 품종을 통해 녹색 혁명을 시작 |
1966년 |
유전정보가 해석되고 일련의 3개의 뉴클리오티드가 20개의 아미노산 각각을 결정한다고 밝힘 |
1973년 |
Stanley Cohen와 Herbert Boyer, 제한효소와 리가제(ligases)를 사용해서
DNA를 자르고 붙이는 기술과 박테리아에서 새로운 DNA를 복제하는 기술을 완성함 |
1981년 |
중국의 과학자가 최초의 복제 물고기 금잉어를 만듬 |
1982년 |
가축을 위한 유전자 재조합 DNA 백신 개발 및 최초의 유전자재조합식물인 피튜니아 생산 |
1983년 |
폴리메라아제(polymerase) 연쇄반응(PCR) 기술이 소개 |
1984년 |
HIV 바이러스의 전체 게놈이 복제되고 나열됨 |
1985년 |
최초로 곤충과 박테리아, 바이러스에 저항력이 있는 유전자 이식 식물이 시험됨 |
1987년 |
최초로 실제실험을 거친 항바이러스 토마토가 승인됨 |
1989년 |
최초로 유전자재조합 해충방지 면화의 실지실험 승인하였으며, 식물 게놈 프로젝트 시작 |
1990년 |
해충에 강한 옥수수인 Bt 옥수수 생산 |
1994년 |
미국 FDA, 생명공학으로 만들어진 FLAVRSAVRTM tomato를 승인 |
1995년 |
암정복을 위해 병원에 면역시스템 모듈, 유전자 재조합 항체형성과 같은 유전자 치료가 도입됨 |
1997년 |
해충방지 농작물 Roundup ReadyTM 콩과 BollgardTM 해충방지 면화와 같은 작물이
상업화됨 |
1998년 |
30,000개의 이상의 유전자 위치를 보여주는 인간 게놈지도의 초안 완성 |
2000년 |
최초로 애기장대(학명 Arabidopsis thaliana)의 게놈지도가 개발됨 |
2001년 |
최초로 쌀의 게놈지도와 땅콩의 종합적 분자지도가 완성됨 |
2003년 |
46개 염색체의 위치와 서열 정보를 제공하는 인간게놈프로젝트 완성 |
2004년 |
‘쓸모없는 DNA(junk DNA)’ 규명 |
2005년 |
Z 나선형 DNA와 B 나선형 DNA의 결합구조 규명, 네이처지 게재 |
2006년 |
오메가-3 지방산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돼지 개발 |
2007년 |
암 발병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기능 규명 |
2008년 |
탈모유발 유전자 발견, 새 탈모약 개발기대(출처: Nature Genetics) |
2009년 |
마이크로 RNA 메카니즘 규명(출처: Cell) |
2010년 |
혈관치료용 마이크로 로봇 개발 |
2011년 |
식물광합성 촉매 구조 규명: 물 분해 촉매가 되는 막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규명 |
2012년 |
한국 식약청서 동종(타가) 줄기세포 치료제 판매를 세계최초로 승인 |
2013년 |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