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지식 및 기술
유전자/DNA/단백질
유전자
gene. 유전의 기본 단위이며, 자신의 고유한 특성(형태, 색, 성질)등의 유전정보를 담아 그 특성을 한 세대에서부터 그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모든 생물학적 형질의 특성을 전달해주는 물질로 모든 생물에 들어 있는 유전 정보의 단위사진출처 : 유전자변형작물 이해하기(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2012. 9),
Resource Center in the National Health Museum
(Courtesy;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and Artist Darryl Leja)
유전자의 역사
1865 | 그레고어 멘델(Gregor Mendel) 완두콩 실험을 통해 완두콩 형질의 특성을 결정하는 본질(유전자)이 있다고 밝힘 |
![]() |
1869 | 프리드리히 미셔(Friedrich Miescher, 1844~1895 DNA로 지칭하는 핵산물질을 백혈구 세포에서 최초로 분리, DNA가 유전물질일 가능성을 시사함 |
![]() |
1880 - 1890 | 발터 플레밍(Walther Flemming 1843~1905), 에드워드 스트라스버거(Edward Strasburg), 에듀어드 반 베네덴(Eouard van Beneden)은세포분열을 관찰하여 염색체를 발견 |
![]() |
1903 | 윌터 서튼(Walter Sutton, 1877~1916)과 테오도르 보페리(Theodor Boveri, 1862~1915) 멘델이 추정한 유전물질 이 염색체에 있다는 가설을 세웠지만 증명하지 못함 |
![]() |
1905 | 윌리엄 베이트슨(William Bateson, 1861~1926) 유전학이라는 학문명을 최초로 언급, 1906년 학술대회에서 제안함 |
![]() |
1908 | 고드프리 하디(Godfrey Harold Hardy, 1877~1947)와 빌헬름 바인베르크 원리를 제안함 |
![]() |
1909 | 요한센(Wilhelm Johannsen, 1857~1927) 유전인자에 유전자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며 콩의 변이 유전을 연구하여 순계설을 발표함 |
![]() |
1910 | 토마스 헌트 모건(Thomas Hunt Morgan, 1866~1945) 초파리 실험을 통해 유전물질이 염색체에 있음을 밝히며 ‘Biotechnology’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함 |
![]() |
1913 | 알프레드 스터티번트(Alfred Sturtevant, 1891~1970) 최초의 유전자지도를 만듦 |
![]() |
1918 | 로널드 피셔(Ronald Aylmer Fisher, 1890~1962) 멘델 유전법칙에서의 유전자 상관을 발표하여 유전학과 진화생물학을 결합시킨 집단유전학이 성립하였음 |
![]() |
1928 | 프레더릭 그리피스(Frederick Griffith, 1879~1941) 폐렴쌍구균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실험을 통해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함 |
![]() |
1931 | 헤리어트 크레이턴(Heriott Creighton)과 바바라 맥클린토크(Barbara
McClintock, 1902~1992) |
![]() |
1941 | 에드워드 로리 테이텀(Edward Lawrie Tatum, 1909~1975)과 조지 웰스
비들 |
![]() |
1943 | 오즈월드 에이버리(Oswald Avery, 1877~1955) 시험관내에서 DNA를 따로 분리, DNA가 유전물질 이라는 사실을 직접 증명 |
![]() |
1953 | 제임스 왓슨(J. D. Watson, 1928~)과 프랜시스 크릭(F. Crick, 1916~2004) DNA의 이중나선 구조 밝히면서 유전자의 개념 확립 |
![]() |